역사 (History)/한국사 Korean [한국사 요약] 민주주의의 발전 - 반응형 1. 이승만 정부 : 자유당 제헌헌법 - 대통령 : 간선제 (국회, 2년) - 반민특위, 농지개혁 - 이승만 정부 출범 1차 개헌 = 발췌개헌 - 대통령 : 직선제 - 6.25 전쟁중 - 부산정치개입 2차 개헌 = 사사오입 개헌 - 초대 대통령의 중임 제한을 철폐 반공체제 (58) - 신국가보안법 - 진보당사건 (조봉암) - 정권에 비판적인 '경향신문' 폐간 2. 장면 정부 : 민주당 3.15 부정선거 4.19 혁명 (60) - 김주열 (마산) 열사 - 이승만 하야 - 허정 과도내각 3차 개헌 - 내각책임제 - 양원제 (민의원 + 참의원) - 장면 정부 출범 - 혁신계 중립화 통일 -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 거창양민학살 조사 4차 개헌 - 소급입법 (3.15 부정범을 처벌하기 위해) 3. 박정희 정부 : 공화당 60년대 5.16 군사 정변 -> 국가재건 최고 회의 5차 개헌 - 대통령 직선제 - 단원제 - 박정희 정부 출범 6.3 시위 (64) - 한일 수교 반대 -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 - 한일 수교 (65) : 김종필, 오하라 - 베트남 파병 (브라운 각서) 6차 개헌 - 청와대 간첩습격사건 (김신조) - 푸에블로호 사건 - 울진 무장공비 침투 사건 - 3선 개헌안 70년대 7.4 남북 공동성명 (72) <- 닉슨독트린 7차 개헌 = 유신헌법 - 대통령 : 간선 (6년) by 통일주체 국민회의 -> 종신가능 - 국회 해산, 의원 13 임명 (유신정우회) - 긴급조치권 (헌법 정지) : 장발단속, 미니스커트 단속 언론자유운동 (동아-백지 광고) 민청학련 - 인민혁명당사건 3.1 민주구국선언 (76) YH 무역사건 -> 김영삼 제명 부마항쟁 -> 10.26 사태 (79) 4. 전두환 정부 : 민정당 신군부 : 12.12사태 (79) 최규하 정부 출범 5.18 민주화운동 - 광주 중심 -> 계엄령 해지하라, 유신헌법 철폐하라 - 계엄군 vs 시민군 -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 국가 보위 비상대책위원회 (국보위) - 삼청교육대 - 언론기본법 8차 개헌 - 대통령 : 간선 (7년 단임) by 대통령 선거인단 - 5공화국 전두환 정부 출범 유화책 - 통금해제 - 과외, 학원 금지 - 해외여행 가능 - 교복 자율화 - 중학교 의무교육 - 프로야구 4.13 호헌 (87) -> 6월민주항쟁 (87)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호헌철폐, 독재타도 - 이한열 열사 사망사건 - 6.29 민주화선언 (직선제 허락) 5. 노태우 정부 9차 개헌 - 대통령 : 직선제 (5년단임) - 여야 합의에 의해 - 노태우 정부 출범 - 서울 올림픽 (88) - 북방 외교 (소련 중국 수교) 김영삼 정부 - 지방 자체제 전면 실시 - 역사 바로 세우기 (전두환, 노태우 법정 재판) 김대중 정부 - 햇볕 정책 노무현 정부 - 호주제 폐지 - 한미 FTA 반응형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Library of Koreandria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Contents 1. 이승만 정부 : 자유당 2. 장면 정부 : 민주당 3. 박정희 정부 : 공화당 4. 전두환 정부 : 민정당 5. 노태우 정부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한국사 요약] 현대 경제 발전과 통일 정책 2020.09.16 [한국사 요약] 광복 ~ 6.25 2020.09.16 [한국사 요약] 항일활동 (30년 이후) 2020.09.16 [한국사 요약] 항일운동 (20년대) 2020.09.16 댓글 0 + 이전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