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반응형
천문학 (Astronomy)

천문학 카테고리에 대하여... (천문학 개요)

  • -
반응형

1. Introduction

천문학 (천체학, Astronomy)는 지구 바깥쪽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우주를 구성하는 천체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법, 점성술 같은 증거로 봤을 때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온 연구분야 중 하나이며, 현대에 와서도 우주 탐사 기술을 가지고 그 나라의 기초과학의 수준을 파악하기도 한다.

실제로 이번에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JWST) 프로젝트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큰 성과가 없자 사람들에게 욕을 먹었지만, 막상 JWST가 보낸 사진으로 이루어낸 성과는 (어느 정도 정치적인 힘도 작용했겠지만) 사람들에게 큰 이슈가 되었다.

이번에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보낸 용골자리 성운 (Carina Nebula)의 일부분.

 


2. Range

가장 유명한 하위 분과인 천체물리학 (Astrophysics)가 있다. 천체의 운동과 형성과정,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천체물리학은 천문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분과라고 볼 수 있다.

점성술 (Astrology)과는 다르다! 천체를 기반으로 인간의 미래를 예측하는 점성술은 과학이 발전하기 이전에는 천문학과 한 몸이었을지 몰라도 현대에 와서는 그냥 유사과학이다. 

이거 아니다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주로 연구 되고 있다.

  • 지구 밖의 외부 행성 - 어떻게 관측하지? 인간이 거주할만한 행성은 있는가?
  • 항성 - 별의 탄생과 죽음.
  • 중성자별 - 펄서와 마그네타.
  • 블랙홀 - 보통 블랙홀 그 자체에 대해서 연구.
  • 은하 - 은하의 구조, 특성, 탄생 및 충돌.
  • 우주론 - 우주의 탄생과 앞으로의 우주에 대한 예측, 우주의 구조.
  • 우주환경 - 우주 방사선과 자기장.
  • 힘, 에너지 - 중력파.

이외에도 수많은 관측 대상이 있고 그만큼 연구 실적이 많은 분야이다.


3. Problem

위키피디아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은 천문학 관련 미해결 난제들이 있다고 한다.

  • 별의 탄생에 대한 의문. 별들이 생성될 당시의 질량 분포(초기 질량 함수)가 일정함.
  • 외계인의 존재성, 또한 외계 생명이 존재하더라도 그들이 지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
  • 우리 태양계는 보편적인 행성계 인가 아니면 특별한가?
  • 우주가 탄생한 이유, 우주의 밀도를 일정하게 만드는 급팽창(inflation)이 발생하는 기전, 바리온 비대칭성(baryon asymmetry)의 존재 이유.
  •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정체.
  • 우주의 최후 (Big Freeze, Big Crunch, Big rip).
  • 은하와 블랙홀의 형성 과정.
  • 초고에너지 입자(ultra-high-energy cosmic ray)가 생기는 원인.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