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5세기
사대 : 명
교린 : 여진, 일본, 유구 (오키나와)
명
- 최영
- 정도전
-> 요동정벌
- 태종 : 사대외교 (국가적 실리 추구: 조공에 2배정도의 답례를 해줌)
여진
- 강경책: 4군(최윤덕) 6진 (김종서) -> 사민정책 (백성들 이주시킴), 토관제 (상피제에서 제외시켜줌)
- 온건책: 북평관, 무역소 설치
일본
- 강경책: 쓰시마 정벌 (이종무)
- 온건책: 3포 개항 (부산포, 제포=창원, 염포=울산) -> 계해약조
대 여진&일본 외교 : 세종 때
2. 16세기
3포왜란 (중종) -> 비변사 (임시) -> 을묘왜변 (명종) -> 비변사 (상설기구화)
임진왜란 발발 (1592)
- 동래성전투 (송상현) -> 탄금대전투 (신립) -> 모두 패배 -> 선조 의주로 ㅌㅌ
- 한산도 대첩 (킹순신)
- 진주 대첩 (김시민)
- 평양성 탈환 (조.명 연합군)
- 북관대첩 (정문부, 의병)
- 행주대첩 (권율)
-> 임진왜란 3대첩 : 한산도, 진주, 행주
-> 의병 : 곽재우, 고경명, 조헌
중앙군 : 5위 체제 (의무) -> 유성룡(징비록) -> 훈련도감 (5군영의 출발점=직업군인) : 포수, 사수, 살수 -> 삼수병
지방군 : 영진군 체제 -> 속오군 (양반~노비)
비변사의 권한 강화 -> 의정부 6조 박살남 (비변사 중심)
정유재란
- 명량대첩 -> 노량해전
- 명나라의 쇠퇴
- 후금의 성장
- 일본 (에도 막부, 도자기 산업 발달, 성리학 발달)
광해군
- 중립외교 (강홍립 투항) -> 영창대군 증살, 인목대비 폐위
- 대동법 시행
- 동의보감 (허준)
- 기유약조 (국교재개) -> 통신사 재파견
인조반정 (서인, 광해군 축출)
- 친명배금
- 이괄의 난 (논공행상의 불만)
정묘호란 (후금)
- 인조 강화도로 피난
- 형제관계 요구, but 조선은 쌩깜
병자호란 (청)
- 남한산성 피난 (최명길 vs 김상헌)
- 삼전도 항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