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유입을 늘리고 싶을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했을 때 내 티스토리 블로그가 검색이 가능해지도록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2. 구글
티스토리 관리에서 플러그인으로 접속한다.
구글 서치 콘솔을 선택하고 계정 연결을 누르면 된다 (구글 계정 로그인 필요).
계정을 연결한 뒤, 구글 검색에 "구글 서치 콘솔"을 입력하고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한다.
그럼 이렇게 구글 서치콘솔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왼쪽에 Sitemap에 들어간다.
구글 서치콘솔 플러그인을 설치한 덕분에 /sitemap.xml은 이미 등록되어 있을 것이다.
이제 저기에 rss만 입력하고 제출하자. 그러면 /rss도 등록되어 완전히 구글에 최적화될 것이다.
이렇게 되어 있다면 성공한 것이다.
3. 네이버
네이버 웹 마스터에 접속한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naver.com)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 한 뒤,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해준다.
그러면 html 태그를 제공한다.
이제 티스토리 관리 - 스킨 편집에서 <head> 섹션에 태그를 붙여 넣자.
이제 네이버 웹마스터로 돌아가서 소유확인을 누른다. 그러면 네이버 웹마스터에 내 티스토리 주소가 등록된다.
4. 빙
빙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한다.
Bing Webmaster Tools
빙은 구글과 연동되어 사이트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하자.
구글과 같이 왼쪽 사이트맵에 들어가면, 나의 경우 이미 rss는 등록되어 있었다.
티스토리 주소/sitemap.xml을 추가하자.
5. 다음, 네이트
다음, 네이트의 경우, 자동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검색등록이 되어있다.
6. 줌
ZUM - 사이트 검색등록
신규 등록한 뒤 티스토리 블로그 정보를 입력한다.
제출한 다음, 블로그 등록 문의에서 한 번 더 신청하면 된다.
ZUM - 검색 문의
6. 키자드
키자드 - keyzard
키자드에 접속한 뒤, 티스토리 백링크 등록으로 들어간다.
티스토리 주소에 자신의 티스토리 홈 주소를 입력하고 최적화를 원하는 포스트의 번호를 입력한다.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자에 접속
키자드 - 등록자 (keyzard.org)
자신의 티스토리 닉네임을 찾아 포스팅이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면 된다.
library-of-k로 접속
SEO 최적화가 완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