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History)/한국사 Korean
-
1. 불상, 회화 초기 철불 유행 -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 대형석불 -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 안동 이천 마애 여래 입상 - 파주 용미리 마애 이불 입상 중기 신라계승 - 영주 부석사 (의상)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 후기 불화 - 아미타래영도 - 수월관음도 -> 지배층 소원 - 천산대렵도 (공민왕?) 2. 불탑 초기 여주 고달사지 승탑 국박 정토사 흥법국사승탑 중기 월정사 8각9층석탑 (석조보살좌상) -> 다각다층석탑 후기 경천사지 10층 석탑 (원 영향, 대리석, 국박실내) -> 원각사지 10층 석탑 (조선) 3. 공예 중기 나전칠기, 순청자 후기 삼강청자 -> 분청사기, 은입사 4. 인쇄 초기 목판 -> 대량, 다양성은 떨어짐 활판 -> 다양, 대량출판 불가 초조대장경 (목판,..
[한국사 요약] 고려 문화21. 불상, 회화 초기 철불 유행 -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 대형석불 -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 안동 이천 마애 여래 입상 - 파주 용미리 마애 이불 입상 중기 신라계승 - 영주 부석사 (의상)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 후기 불화 - 아미타래영도 - 수월관음도 -> 지배층 소원 - 천산대렵도 (공민왕?) 2. 불탑 초기 여주 고달사지 승탑 국박 정토사 흥법국사승탑 중기 월정사 8각9층석탑 (석조보살좌상) -> 다각다층석탑 후기 경천사지 10층 석탑 (원 영향, 대리석, 국박실내) -> 원각사지 10층 석탑 (조선) 3. 공예 중기 나전칠기, 순청자 후기 삼강청자 -> 분청사기, 은입사 4. 인쇄 초기 목판 -> 대량, 다양성은 떨어짐 활판 -> 다양, 대량출판 불가 초조대장경 (목판,..
2020.09.09 -
1. 유학 호족 성종 유학부: 명경과 (경전), 제술과 (논술) -> 기술학부: 잡과 (수학, 법률, 의술), 승과, but 무과는 없음 문벌귀족 사학 12도 (명문대) -> 최충의 9재학당 = 문헌공도, 최충은 해동공자라 불림. 관학진흥책: 양현고, 전문7재 무신 유학의 인기가 줄어들게 됨 권문세족 (원 간섭기) 안향: 성리학 (from 원) 소개 -> 이것을 받아들인 사람 = 신진 사대부 (이제현 - 이색 - 정봉주) 만권당(충선왕) - 학문 교류소 2. 역사 호족 실록, 구삼국사 문벌귀족 - 김부식 - 신라시대 편집 - 현존 우리나라 최고 역사서 -> 기저체: 본기+세가+지+표+열전 무신 : 각훈 : 이규보 -> 고구려 권문세족 : 일연 -> 민간설화 (군위) : 이승휴 -> 단군 : 이제현 3. ..
[한국사 요약] 고려 문화1. 유학 호족 성종 유학부: 명경과 (경전), 제술과 (논술) -> 기술학부: 잡과 (수학, 법률, 의술), 승과, but 무과는 없음 문벌귀족 사학 12도 (명문대) -> 최충의 9재학당 = 문헌공도, 최충은 해동공자라 불림. 관학진흥책: 양현고, 전문7재 무신 유학의 인기가 줄어들게 됨 권문세족 (원 간섭기) 안향: 성리학 (from 원) 소개 -> 이것을 받아들인 사람 = 신진 사대부 (이제현 - 이색 - 정봉주) 만권당(충선왕) - 학문 교류소 2. 역사 호족 실록, 구삼국사 문벌귀족 - 김부식 - 신라시대 편집 - 현존 우리나라 최고 역사서 -> 기저체: 본기+세가+지+표+열전 무신 : 각훈 : 이규보 -> 고구려 권문세족 : 일연 -> 민간설화 (군위) : 이승휴 -> 단군 : 이제현 3. ..
2020.09.09 -
1. 신분제 귀족 - 호족 (문벌귀족) -> 무신 ->권문세족 중류층 - 하급 관리 - 잡류, 난반, 군반, 향리 -> 귀족과 중류층 = 지배층 양민 - 백정 (일반 농민, 가장 많은 인구분포) - 향.부곡(농사).소(수공업): 차별-세금을 더 많이 냄, 거주이전의 자유 없음 천민 - 노비 (매매, 상속, 증여) - 일천즉천 2. 농민조직 향도 - 전기: 불교 신앙 조직 (매향 활동) - 후기: 마을 공동 조직 (상장제례) -> 조선시대까지 유지 3. 사회제도 구휼: 흑창 (태조) -> 의창 (춘대추납) 제위보: 빈문구휼을 위한 기금 조성 기구 - 동.서대비원, 혜민국(약국), 구제도감, 구급도감, 4. 법률 당률 but, 사실상 관습법 사용 -> 태.장.도.유.사 5. 가족제도 가정내, 여성의 지위가 ..
[한국사 요약] 고려 사회1. 신분제 귀족 - 호족 (문벌귀족) -> 무신 ->권문세족 중류층 - 하급 관리 - 잡류, 난반, 군반, 향리 -> 귀족과 중류층 = 지배층 양민 - 백정 (일반 농민, 가장 많은 인구분포) - 향.부곡(농사).소(수공업): 차별-세금을 더 많이 냄, 거주이전의 자유 없음 천민 - 노비 (매매, 상속, 증여) - 일천즉천 2. 농민조직 향도 - 전기: 불교 신앙 조직 (매향 활동) - 후기: 마을 공동 조직 (상장제례) -> 조선시대까지 유지 3. 사회제도 구휼: 흑창 (태조) -> 의창 (춘대추납) 제위보: 빈문구휼을 위한 기금 조성 기구 - 동.서대비원, 혜민국(약국), 구제도감, 구급도감, 4. 법률 당률 but, 사실상 관습법 사용 -> 태.장.도.유.사 5. 가족제도 가정내, 여성의 지위가 ..
2020.09.09 -
1. 토지제도 수조권 - 역분전 (태조, 논공행상) -> 시정전시과 (경종, 전.현직, 인품-집안) -> 개정전시과 (목종, 전.현직) -> 경정전시과 (문종, 현직) -> 시간이 갈 수록 점점 토지부족 -> 일하는 사람한테만 주자. 소유권 - 민전 (조선시대까지 지속) 2. 수취제도 - 양안 -> 조세 (토지세), 공납 (특산품), 호적 (역, 15~60의 남자 = 정남 -> 요역, 군역) 3. 경제활동 농업(후기) - 논: 이앙법 (남부이미시행) (from 원. 이앙) - 밭: 윤작법 (2년 3작) = 겨울(보리)-봄(조)-여름(콩), 목화재배 (from 원. 문익점) 상업 - 무역: 벽란도 (국제무역항, 예성강, 이규보 - 아라비아), : 중국회화책 - 화폐: 활구(은병), 건원중보 (성종, 철전)..
[한국사 요약] 고려 - 경제1. 토지제도 수조권 - 역분전 (태조, 논공행상) -> 시정전시과 (경종, 전.현직, 인품-집안) -> 개정전시과 (목종, 전.현직) -> 경정전시과 (문종, 현직) -> 시간이 갈 수록 점점 토지부족 -> 일하는 사람한테만 주자. 소유권 - 민전 (조선시대까지 지속) 2. 수취제도 - 양안 -> 조세 (토지세), 공납 (특산품), 호적 (역, 15~60의 남자 = 정남 -> 요역, 군역) 3. 경제활동 농업(후기) - 논: 이앙법 (남부이미시행) (from 원. 이앙) - 밭: 윤작법 (2년 3작) = 겨울(보리)-봄(조)-여름(콩), 목화재배 (from 원. 문익점) 상업 - 무역: 벽란도 (국제무역항, 예성강, 이규보 - 아라비아), : 중국회화책 - 화폐: 활구(은병), 건원중보 (성종, 철전)..
2020.09.09 -
1. 거란의 침입 10~11세기, 호족, 거란 (요)의 침입 1차 침입 - 서희 (vs 소손녕)의 외교담판 - 강동 6주 획득 2차 침입 - 강조의 변 (쿠데타) - 양규의 활약 3차 침입 - 강감찬 (낙성대) - 귀주대첩 - 초조대장경 - 광군 조직 - 천리장성 축조, 나성 (개성) 2. 여진의 침입 12세기, 문벌귀족, 여진 (금)의 침입 윤관: 별무반 -> 동북9성 확보 - 신기군 (기병) - 신보군 (보병) - 항마군 (승려부대) 금 사대 요구 - 이자겸, 김부식 찬성 - 묘청의 서경 천도운동 -> 금 정벌 -> 진압됨 3. 몽골의 침입 13세기, 무신, 몽골 (원)의 침입 -> 초조대장경, 황룡사 9층 목탑이 불태워짐. 최우: 강화도 천도 김윤후: 처인성 (살리타를 죽임), 충주 (노비) -> ..
[한국사 요약] 고려의 외교1. 거란의 침입 10~11세기, 호족, 거란 (요)의 침입 1차 침입 - 서희 (vs 소손녕)의 외교담판 - 강동 6주 획득 2차 침입 - 강조의 변 (쿠데타) - 양규의 활약 3차 침입 - 강감찬 (낙성대) - 귀주대첩 - 초조대장경 - 광군 조직 - 천리장성 축조, 나성 (개성) 2. 여진의 침입 12세기, 문벌귀족, 여진 (금)의 침입 윤관: 별무반 -> 동북9성 확보 - 신기군 (기병) - 신보군 (보병) - 항마군 (승려부대) 금 사대 요구 - 이자겸, 김부식 찬성 - 묘청의 서경 천도운동 -> 금 정벌 -> 진압됨 3. 몽골의 침입 13세기, 무신, 몽골 (원)의 침입 -> 초조대장경, 황룡사 9층 목탑이 불태워짐. 최우: 강화도 천도 김윤후: 처인성 (살리타를 죽임), 충주 (노비) -> ..
2020.09.09 -
1. 문벌귀족 호족이 문벌귀족으로 진화 (5품 이상) - 호족 때는 선종을 선호했으나 문벌귀족이 되면서 교종 선호 - 호족 때는 고구려 계승을 선호했으나 문벌귀족이 되면서 신라 계승을 선호 - 정치: 음서 (5품 이상) + 과거 (광종-쌍기) - 경제: 공음전 (태어나자마자 토지 지급) + 전시과, 과거와 전시과는 관료주의적 특징 - 사회: 폐쇄통혼 (근친혼) 2. 문벌 귀족의 모순 이자겸의 난 (인종) + 척준경 - 이자겸은 인종의 외할아버지, 근데 자기 딸은 인종이랑 결혼 시킴. - 왕 노릇하다가 안되니까 빡쳐서 왕의 침소에 불지름. - 실패함.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 서경파 (묘청, 정지상) -> 불교, 풍수지리 -> 고구려 계승 (자주적) -> 금 정벌 - 개경파 (김부식-삼국사기의 저자) -..
[한국사 요약] 고려 중기 정치1. 문벌귀족 호족이 문벌귀족으로 진화 (5품 이상) - 호족 때는 선종을 선호했으나 문벌귀족이 되면서 교종 선호 - 호족 때는 고구려 계승을 선호했으나 문벌귀족이 되면서 신라 계승을 선호 - 정치: 음서 (5품 이상) + 과거 (광종-쌍기) - 경제: 공음전 (태어나자마자 토지 지급) + 전시과, 과거와 전시과는 관료주의적 특징 - 사회: 폐쇄통혼 (근친혼) 2. 문벌 귀족의 모순 이자겸의 난 (인종) + 척준경 - 이자겸은 인종의 외할아버지, 근데 자기 딸은 인종이랑 결혼 시킴. - 왕 노릇하다가 안되니까 빡쳐서 왕의 침소에 불지름. - 실패함.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 서경파 (묘청, 정지상) -> 불교, 풍수지리 -> 고구려 계승 (자주적) -> 금 정벌 - 개경파 (김부식-삼국사기의 저자) -..
2020.09.08 -
1. 중세 고려전기: 918~1170 (무신정변) 고려후기: 1170~1392 호족 -> 중앙에 위치, 후에 "문벌귀족", 무신정변 이후 "무신", 원간섭기에 "권문세족", 6두품 -> 지방에 위치, 후에 향리, 원간섭기 이후, 신진사대부 (성리학) 건국기 - 공산 전투 -> 고창 전투 -> 일리천 전투 태조 왕건 - 민생안정: 감세 (본래 세의 $1 \over 10$) - 흑창(->의창) - 왕권이 약함 (호족) -> 호족 정책으로 결혼, 사성, 역분전 (당근), 사심관-연대책임, 김부 (채찍), 기인 제도 - 북진정책: 발해유민 수용, 서경을 중요시 여김 (청천강~영흥) - - 왕건 사후, 왕규의 난 (내가 왕될꺼야)이 벌어짐 광종 - 왕권 강화 - 노비안검법 (불법 노비를 양민으로 바꿔줌) -> 호..
[한국사 요약] 고려 초기 정치1. 중세 고려전기: 918~1170 (무신정변) 고려후기: 1170~1392 호족 -> 중앙에 위치, 후에 "문벌귀족", 무신정변 이후 "무신", 원간섭기에 "권문세족", 6두품 -> 지방에 위치, 후에 향리, 원간섭기 이후, 신진사대부 (성리학) 건국기 - 공산 전투 -> 고창 전투 -> 일리천 전투 태조 왕건 - 민생안정: 감세 (본래 세의 $1 \over 10$) - 흑창(->의창) - 왕권이 약함 (호족) -> 호족 정책으로 결혼, 사성, 역분전 (당근), 사심관-연대책임, 김부 (채찍), 기인 제도 - 북진정책: 발해유민 수용, 서경을 중요시 여김 (청천강~영흥) - - 왕건 사후, 왕규의 난 (내가 왕될꺼야)이 벌어짐 광종 - 왕권 강화 - 노비안검법 (불법 노비를 양민으로 바꿔줌) -> 호..
2020.09.08 -
과학 건축 고분 고구려 천문도->천상열차분야지도(태조) 안학궁(평양)-> 장수왕의 남하정책 돌무지 무덤 (장군총) -> 굴식돌방무덤 (모줄임 천장) 백제 칠지도(왜, 근초고왕) 미륵사(익산) - 왕궁리 유적 (무왕) 고구려의 양식 (석촌동 고분) + 벽돌무덤 (무령왕릉) -> 중국 양나라와 교류 신라 금관 첨성대(선덕여왕-분황사, 황룡사 9층 목탑) 황룡사 (진흥왕) 돌무지 덧널무덤 (천마총-천마도, 황남대총) 껴묻거리가 많음 가야 덩이쇠(철판갑옷, 금동관) -> 지산동 고분(금관가야), 대성동 고분(대가야) 지산동, 대성동 고분 통일신라 성원사 동종 (성덕왕): 현존 최고 동종 성덕대왕 신종(경덕왕->놉을부활, 불국사 ~혜공왕): 에밀레종 불국사, 석굴암 굴식돌방무덤(김유신묘 호석, 12지 신상) 발해..
[한국사 요약] 고대 문화2과학 건축 고분 고구려 천문도->천상열차분야지도(태조) 안학궁(평양)-> 장수왕의 남하정책 돌무지 무덤 (장군총) -> 굴식돌방무덤 (모줄임 천장) 백제 칠지도(왜, 근초고왕) 미륵사(익산) - 왕궁리 유적 (무왕) 고구려의 양식 (석촌동 고분) + 벽돌무덤 (무령왕릉) -> 중국 양나라와 교류 신라 금관 첨성대(선덕여왕-분황사, 황룡사 9층 목탑) 황룡사 (진흥왕) 돌무지 덧널무덤 (천마총-천마도, 황남대총) 껴묻거리가 많음 가야 덩이쇠(철판갑옷, 금동관) -> 지산동 고분(금관가야), 대성동 고분(대가야) 지산동, 대성동 고분 통일신라 성원사 동종 (성덕왕): 현존 최고 동종 성덕대왕 신종(경덕왕->놉을부활, 불국사 ~혜공왕): 에밀레종 불국사, 석굴암 굴식돌방무덤(김유신묘 호석, 12지 신상) 발해..
2020.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