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
-
디코이는 내가 전술적인 이득을 얻도록 하기 위해 상대 기물을 유인하는 것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의 나이트는 f4로 이동하여 퀸과 룩에 대해 포크를 걸어 이득을 취할 수 있지만 디코이를 사용하면 더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먼저 흑은 퀸을 g2에 배치하여 룩을 잡는으면서 동시에 체크를 넣는다. 백은 선택의 여지가 없다. 킹으로 퀸을 잡는다. 이때 나이트가 f4로 이동하여 킹과 퀸을 포크. 퀸을 잡는다. 원래 같으면 나이트가 포크로 룩을 따내고 킹에게 잡혀서 5점(룩)을 얻고 3점(나이트)을 잃어 2점의 이득을 보지만, 디코이를 사용한 전술에서는 퀸을 교환하고 상대 룩을 잡았으므로 5점의 이득을 얻는다.
디코이 (Decoy)의 모든 것디코이는 내가 전술적인 이득을 얻도록 하기 위해 상대 기물을 유인하는 것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의 나이트는 f4로 이동하여 퀸과 룩에 대해 포크를 걸어 이득을 취할 수 있지만 디코이를 사용하면 더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먼저 흑은 퀸을 g2에 배치하여 룩을 잡는으면서 동시에 체크를 넣는다. 백은 선택의 여지가 없다. 킹으로 퀸을 잡는다. 이때 나이트가 f4로 이동하여 킹과 퀸을 포크. 퀸을 잡는다. 원래 같으면 나이트가 포크로 룩을 따내고 킹에게 잡혀서 5점(룩)을 얻고 3점(나이트)을 잃어 2점의 이득을 보지만, 디코이를 사용한 전술에서는 퀸을 교환하고 상대 룩을 잡았으므로 5점의 이득을 얻는다.
2020.05.09 -
디플렉션이란 원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방어하고 있는 상대 말을 쫒아내는 것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은 나이트를 d5에 배치해서 상대 킹과 퀸에 대해 포크를 걸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d5를 백의 비숍이 막고 있다. 즉, 흑의 입장에서는 저 비숍만 갖다 치워버리면 만사형통이다. 흑은 비숍을 d7에 배치하여 백의 비숍이 c6를 포기하도록 유지한다. 흑의 비숍은 잡힐 수도 있지만, 이는 나중에 퀸을 따내기 위한 작은 희생(Sacrifice)이다. 다음 이미지는 디플랙션의 또 다른 경우이다. 흑의 퀸은 백의 룩을 잡고 싶지만 또다른 룩의 보호를 받고 있어 불가능하다. 하지만 흑은 나이트를 d2에 배치해서 룩의 보호를 끊는다. 백이 비숍으로 나이트를 잡으면 백은 원래 목표대로 퀸으로 룩을 잡으면 된다...
디플렉션 (Deflection)의 모든 것디플렉션이란 원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방어하고 있는 상대 말을 쫒아내는 것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은 나이트를 d5에 배치해서 상대 킹과 퀸에 대해 포크를 걸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d5를 백의 비숍이 막고 있다. 즉, 흑의 입장에서는 저 비숍만 갖다 치워버리면 만사형통이다. 흑은 비숍을 d7에 배치하여 백의 비숍이 c6를 포기하도록 유지한다. 흑의 비숍은 잡힐 수도 있지만, 이는 나중에 퀸을 따내기 위한 작은 희생(Sacrifice)이다. 다음 이미지는 디플랙션의 또 다른 경우이다. 흑의 퀸은 백의 룩을 잡고 싶지만 또다른 룩의 보호를 받고 있어 불가능하다. 하지만 흑은 나이트를 d2에 배치해서 룩의 보호를 끊는다. 백이 비숍으로 나이트를 잡으면 백은 원래 목표대로 퀸으로 룩을 잡으면 된다...
2020.05.09 -
스큐어란 핀과는 반대로 가치가 큰 상대 기물을 공격해서 그 기물이 피하도록 유도한 뒤, 그 너머의 기물을 잡는 것을 말한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은 g6에 퀸을 배치하는 것으로 백의 킹을 체크한다. 백은 킹을 움직여야하고 그 다음 흑은 백의 퀸을 잡는다. 이것이 스큐어다. 스큐어는 포크나 핀과 달리 거의 강제적인 수이다. 즉, 웬만해서는 피할 방법이 없고 스큐어가 나오는 수준까지 왔다면 거의 한쪽이 경기를 지배하는 정도라고 볼 수 있다.
스큐어 (Skewer)의 모든 것스큐어란 핀과는 반대로 가치가 큰 상대 기물을 공격해서 그 기물이 피하도록 유도한 뒤, 그 너머의 기물을 잡는 것을 말한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은 g6에 퀸을 배치하는 것으로 백의 킹을 체크한다. 백은 킹을 움직여야하고 그 다음 흑은 백의 퀸을 잡는다. 이것이 스큐어다. 스큐어는 포크나 핀과 달리 거의 강제적인 수이다. 즉, 웬만해서는 피할 방법이 없고 스큐어가 나오는 수준까지 왔다면 거의 한쪽이 경기를 지배하는 정도라고 볼 수 있다.
2020.04.26 -
일직선 공격이 가능한 기물 (비숍, 룩, 퀸)으로 상대의 기물들을 공격하는데, 가치가 낮은 기물 (A)이 가치 높은 기물 (B)을 막아주고 있는 형태일 때, "A가 핀에 걸렸다"라고 한다. 핀의 의미는 "A를 다른 곳에 배치하는 순간, 가치 높은 기물인 B를 먹겠다"라는 의미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의 룩에 의해 백의 나이트가 핀에 걸려있다. 킹을 제외한 기물에 대한 핀은 가치가 높은 기물 (B)을 희생해서라도 가치가 낮은 기물 (A)를 움직일 수 있지만, 킹에 대한 핀은 절대적이라서 룰에 의해 A는 절대로 움직일 수 없다. 핀을 푸는 방법은 공격하는 상대 기물을 잡는 것이 있겠지만 이 경우는 포크에서 설명했으니 넘어가고, 일반적인 방법은 가치 높은 기물 (B)를 먼저 다른 곳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위의..
핀 (Pin)의 모든 것일직선 공격이 가능한 기물 (비숍, 룩, 퀸)으로 상대의 기물들을 공격하는데, 가치가 낮은 기물 (A)이 가치 높은 기물 (B)을 막아주고 있는 형태일 때, "A가 핀에 걸렸다"라고 한다. 핀의 의미는 "A를 다른 곳에 배치하는 순간, 가치 높은 기물인 B를 먹겠다"라는 의미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의 룩에 의해 백의 나이트가 핀에 걸려있다. 킹을 제외한 기물에 대한 핀은 가치가 높은 기물 (B)을 희생해서라도 가치가 낮은 기물 (A)를 움직일 수 있지만, 킹에 대한 핀은 절대적이라서 룰에 의해 A는 절대로 움직일 수 없다. 핀을 푸는 방법은 공격하는 상대 기물을 잡는 것이 있겠지만 이 경우는 포크에서 설명했으니 넘어가고, 일반적인 방법은 가치 높은 기물 (B)를 먼저 다른 곳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위의..
2020.04.24 -
전술이란? 전술이란 쉽게 말해 묘수를 말한다. 당장의 한 수, 두 수 미래의 이득을 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대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상대의 기물을 잡거나 좋은 포지션을 잡는 등 실질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전술에는 무조건 정답이 있고, 정답인 전술 이외에는 모두 정답보다 불리한 수이다. 따라서 학습의 우선순위가 상당히 높다! 개인적으로, 체스를 배우면 행마법을 터득한 뒤에 바로 간단한 전술부터 익히기 시작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전술을 이해해야 오프닝으로 대표되는 각종 전략 (Strategy)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 (Tactics)전술이란? 전술이란 쉽게 말해 묘수를 말한다. 당장의 한 수, 두 수 미래의 이득을 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대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상대의 기물을 잡거나 좋은 포지션을 잡는 등 실질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전술에는 무조건 정답이 있고, 정답인 전술 이외에는 모두 정답보다 불리한 수이다. 따라서 학습의 우선순위가 상당히 높다! 개인적으로, 체스를 배우면 행마법을 터득한 뒤에 바로 간단한 전술부터 익히기 시작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전술을 이해해야 오프닝으로 대표되는 각종 전략 (Strategy)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0.04.24 -
포크는 하나의 기물로 둘 이상의 상대 기물을 공격하는 것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의 나이트는 e5로 움직이면서 백의 킹과 룩을 동시에 공격한다. 백은 체크에 걸렸으므로 킹을 움직여야 하고 흑은 룩을 공짜로 잡게 된다. 포크에 당하면 피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이다. 첫번째는, 포크를 두는 기물을 잡는 것이다. 당연히 공격하는 기물이 없으므로 포크가 풀린다. 하지만 상대가 바보가 아닌이상 손해를 보면서까지 포크를 걸지는 않을 것이므로, 이는 자신의 기물을 잡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킹이 아닌 기물에 포크를 당했을 때만 쓸 수 있는 방법인데, 포크 당한 기물로 적의 가치가 높은 기물을 공격하는 것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은 백의 나이트에 의해 룩과 비숍 포크를 당하고 있다. 이때 흑이 c1에 룩을 배..
포크 (Fork)의 모든 것포크는 하나의 기물로 둘 이상의 상대 기물을 공격하는 것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의 나이트는 e5로 움직이면서 백의 킹과 룩을 동시에 공격한다. 백은 체크에 걸렸으므로 킹을 움직여야 하고 흑은 룩을 공짜로 잡게 된다. 포크에 당하면 피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이다. 첫번째는, 포크를 두는 기물을 잡는 것이다. 당연히 공격하는 기물이 없으므로 포크가 풀린다. 하지만 상대가 바보가 아닌이상 손해를 보면서까지 포크를 걸지는 않을 것이므로, 이는 자신의 기물을 잡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킹이 아닌 기물에 포크를 당했을 때만 쓸 수 있는 방법인데, 포크 당한 기물로 적의 가치가 높은 기물을 공격하는 것이다. 다음 이미지에서 흑은 백의 나이트에 의해 룩과 비숍 포크를 당하고 있다. 이때 흑이 c1에 룩을 배..
2020.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