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분제 동요
양난
- 양안 소멸 (토지)
- 호적 소멸 (사람)
-> 국가 재정 추락
-> 납속책 (공명첩) -> 양방군역x
양반
- 권반 (계속 권력 가짐)
- 향반 (투쟁에서 밀려나 향촌에 짱박힘)
- 잔반 (몰락한 양반)
중인
- 서얼 (신분상승상소 -> 서얼등용 -> 규장각 검서관(정조) -> 박제가, 유득공)
- 기술직 중인 : 소청x, 시사조직 -> 위항문학
상민
- 부농: 잔반의 족보를 매입 (위조), 납속책-> 양반진화
- 임노동자
천민
- 대부분 노비 -> ㅌㅌ
- 양인화 (국가 재정 확보를 위해)
-> 노비종모법 (어머니의 신분을 따름)
-> 공노비해방 (순조)
구향 = 향반
-> 보학: 족보 암기ㅋㅋㅋㅋ
-> 사당 세움
-> 동성촌
-> 가부장
신향 = 양반이 된 부농
-> 지방관과 결탁 : 향안을 불태움
향전 = 구향 vs 신향
시민 의식 성장
- 예언사상
-> <정감록>, 도참, 미륵신앙
- 평등의식 상승
-> 서학(천주교) : 제사 ㅗ -> 사교로 규정
- 신유박해 (순조) : 이승훈, 정약용
- 황사영 백서 사건
-> 동학 (최제우 -> 최시형)
- 인내천 = 사람이 곧 하늘이다, 시천주
- <동경대전><용담유사>
2. 19세기 민란
홍경래의 난 (순조)
- 우군칙 + 광산, 농민 (서북 지역, 강동 6주)
- 정주성
- 서북지역민들에 대한 차별
임술농민봉기 (철종))
- 진주 ~ 전국확산
- 유계춘: 탐관오리 백낙신을 타도
- 세도정치 중
- 삼정문란
임술농민봉기 대응
- 안핵사 파견 (박규수)
- 삼정이정청
- 암행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