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1. 조세 - 전세 (토지세), 공납 (특산물), 역 (노동력) - 조세수취를 위해 통일신라 때, 민정문서 (= 신라 장적)를 만들게 됨. -> 고려, 조선 때는 호적과, 양안으로 조세수취 - 근데, 이게 일본에서 발견됨. 서원경 (충주, 직지심체요절) 지역의 내용. - 촌주가 3년 마다 작성. 2. 무역 - 장보고 : 법화원 - 청해진 (완도) 교역 - 당에는 신라방, 신라소, 신라원이 생김. - 울산항이 국제 무역항이 됨 (아라비아). 증거 : 원성왕릉 무인상, 유리작품 - 당항성 (진흥왕) - 당나라와 직교역 - 발해관이 세워짐 - 발해는 거란, 신라 (신라도), 일본 (일본도), 당 (조공도)과 교류 - 발해는 솔빈부 (말)이 특산품 3. 활동 - 동시(전) : 시장, 지증왕 -> 통일신라 되면서..
[한국사 요약] 고대의 경제1. 조세 - 전세 (토지세), 공납 (특산물), 역 (노동력) - 조세수취를 위해 통일신라 때, 민정문서 (= 신라 장적)를 만들게 됨. -> 고려, 조선 때는 호적과, 양안으로 조세수취 - 근데, 이게 일본에서 발견됨. 서원경 (충주, 직지심체요절) 지역의 내용. - 촌주가 3년 마다 작성. 2. 무역 - 장보고 : 법화원 - 청해진 (완도) 교역 - 당에는 신라방, 신라소, 신라원이 생김. - 울산항이 국제 무역항이 됨 (아라비아). 증거 : 원성왕릉 무인상, 유리작품 - 당항성 (진흥왕) - 당나라와 직교역 - 발해관이 세워짐 - 발해는 거란, 신라 (신라도), 일본 (일본도), 당 (조공도)과 교류 - 발해는 솔빈부 (말)이 특산품 3. 활동 - 동시(전) : 시장, 지증왕 -> 통일신라 되면서..
2020.09.08 -
1. 발해 건국왕 : 대조영 (698, 동모산) 고구려 계승 - 초기에 신라, 당나라 싫어함 지배층의 대다수 = 고구려인 온돌, 이불병좌상, 돌사자상, 석등 = 고구려와 유사 무왕 : 반당 - 대문예에게 흑수말갈을 공격하도록 함. 장문휴에게 산둥반도를 공격하도록 함. 연호 (인안) 사용 문왕 : 친당 - 당나라의 3성 6부 수용, 신라도 사용, 중경에서 상경으로 천도, 왜왕에게 국서를 보냄 (고구려 계승의 증거) 선왕 : 5경 15부 62주 -> 요동 정복, 해동성국 거란의 침략 (926) -> 발해 멸망 발해의 중앙 통치 조직 (당의 영향) 3성 : 정당성 (대내상), 중대성, 선조성 6부 : 충, 인, 의, 예, 지, 신부 중정대 (감찰기구), 주자감 (교육기관) -> 그대로 베낀 것은 아님. 상경 ..
[한국사 요약] 발해1. 발해 건국왕 : 대조영 (698, 동모산) 고구려 계승 - 초기에 신라, 당나라 싫어함 지배층의 대다수 = 고구려인 온돌, 이불병좌상, 돌사자상, 석등 = 고구려와 유사 무왕 : 반당 - 대문예에게 흑수말갈을 공격하도록 함. 장문휴에게 산둥반도를 공격하도록 함. 연호 (인안) 사용 문왕 : 친당 - 당나라의 3성 6부 수용, 신라도 사용, 중경에서 상경으로 천도, 왜왕에게 국서를 보냄 (고구려 계승의 증거) 선왕 : 5경 15부 62주 -> 요동 정복, 해동성국 거란의 침략 (926) -> 발해 멸망 발해의 중앙 통치 조직 (당의 영향) 3성 : 정당성 (대내상), 중대성, 선조성 6부 : 충, 인, 의, 예, 지, 신부 중정대 (감찰기구), 주자감 (교육기관) -> 그대로 베낀 것은 아님. 상경 ..
2020.09.08 -
1. 남북국시대 유득공의 발해고에서 사용 2. 통일신라 - 전기 (문무왕-혜공왕) 매우 강한 왕권 태종 무열왕 (김춘추): 최초의 진골출신 왕 - 나당연합으로 백제 멸망시킴 with 김유신 (가야출신) 문무왕: 고구려 명망 시킴, 나당전쟁에서 승리 - 삼국통일, 상수리 (귀족인질), 외사정 (지방 감찰기관), 동해 용이 되겠다 -> 문무대왕암 신문왕: 김흠돌의 난, 상대등(화백회의 대빵)의 힘을 낮춤 -> 백제의 정사암, 고구려의 제가회의, 집사부 시중의 힘이 올라감, 6두품 적극 등용 (설총-화왕계), 관료전 (노동력이 없음) 지급, 녹읍 철폐 9주 5소경 (수도의 편재성 극복) - 중원경 (충주): 고구려비, 서원경 (청주): 민정문서 (세금 수취를 위한 자료), 직지심체요절, 군사체제: 9서당(중앙..
[한국사 요약] 통일신라 - 후삼국1. 남북국시대 유득공의 발해고에서 사용 2. 통일신라 - 전기 (문무왕-혜공왕) 매우 강한 왕권 태종 무열왕 (김춘추): 최초의 진골출신 왕 - 나당연합으로 백제 멸망시킴 with 김유신 (가야출신) 문무왕: 고구려 명망 시킴, 나당전쟁에서 승리 - 삼국통일, 상수리 (귀족인질), 외사정 (지방 감찰기관), 동해 용이 되겠다 -> 문무대왕암 신문왕: 김흠돌의 난, 상대등(화백회의 대빵)의 힘을 낮춤 -> 백제의 정사암, 고구려의 제가회의, 집사부 시중의 힘이 올라감, 6두품 적극 등용 (설총-화왕계), 관료전 (노동력이 없음) 지급, 녹읍 철폐 9주 5소경 (수도의 편재성 극복) - 중원경 (충주): 고구려비, 서원경 (청주): 민정문서 (세금 수취를 위한 자료), 직지심체요절, 군사체제: 9서당(중앙..
2020.09.08 -
1. 신라의 발전 건국시조: 박혁거세 - 사로국으로 출발, 박(혁거세,칭호:거서간->차차웅)->석(탈해, 칭호:이사금)->김(알지, 칭호:이사금) 4세기, 내물 마립간: 왜의 침략 - 고구려 (광개토대왕)에 SOS, 김씨 세습 5세기, 눌지: 장수왕의 남하 -> 나제 동맹 (with 소지왕) 체결 6세기, 지증왕: 왕 칭호 사용, 신라 이름 사용. 우산국 정복 (이사부), 우경 (소) 장려, 순장 금지 6세기, 법흥왕: 연호 건원 사용. 율령 도입 (17관등). 병부 (국방부) 설치, 골품제 정비 -> 상대등, 불교공인 (이차돈), 금관가야 정복 6세기, 진흥왕: 백제 배신, 한강 지배 - 관산성 전투에서 승리 (성왕 전사) - 단양적성비, 순수비 (북한산->김정희가 주장), 화랑도 개편, 당항성을 통해..
[한국사 요약] 신라1. 신라의 발전 건국시조: 박혁거세 - 사로국으로 출발, 박(혁거세,칭호:거서간->차차웅)->석(탈해, 칭호:이사금)->김(알지, 칭호:이사금) 4세기, 내물 마립간: 왜의 침략 - 고구려 (광개토대왕)에 SOS, 김씨 세습 5세기, 눌지: 장수왕의 남하 -> 나제 동맹 (with 소지왕) 체결 6세기, 지증왕: 왕 칭호 사용, 신라 이름 사용. 우산국 정복 (이사부), 우경 (소) 장려, 순장 금지 6세기, 법흥왕: 연호 건원 사용. 율령 도입 (17관등). 병부 (국방부) 설치, 골품제 정비 -> 상대등, 불교공인 (이차돈), 금관가야 정복 6세기, 진흥왕: 백제 배신, 한강 지배 - 관산성 전투에서 승리 (성왕 전사) - 단양적성비, 순수비 (북한산->김정희가 주장), 화랑도 개편, 당항성을 통해..
2020.09.07 -
1. 백제 건국왕: 온조 (고주몽의 아들, 한강유역), 비류 (미추홀, 후에 백제에 합류) 3세기, 고이왕: 관등, 관복 제정 (율령과 유사함), 마한의 목지국을 병합 4세기, 근초고왕: 요서, 규슈 (칠지도)와 교류, 마한 병합, 고구려의 고국원왕 전사시킴 4세기, 침류왕: 중국의 동진으로부터 불교수용. 5세기, 비유왕: 고구려의 장수왕 (평양 천도) - 나제동맹(눌지) 형성 5세기, 개로왕 (북위에 SOS) 전사 - 한성 함락 됨. 5세기, 동성왕: 신라의 소지왕과 결혼동맹 형성, 웅진 (공주)으로 천도. 6세기, 무령왕: 22담로 (왕족) 파견함. 중국남조, 일본과 교류 -> 무령왕릉 (벽돌무덤)을 통함. 6세기, 성왕: 백제 중흥, 사비 (부여) 천도, 국호를 남부여로 바꿈. 행정구역 5부5방으로..
[한국사 요약] 백제1. 백제 건국왕: 온조 (고주몽의 아들, 한강유역), 비류 (미추홀, 후에 백제에 합류) 3세기, 고이왕: 관등, 관복 제정 (율령과 유사함), 마한의 목지국을 병합 4세기, 근초고왕: 요서, 규슈 (칠지도)와 교류, 마한 병합, 고구려의 고국원왕 전사시킴 4세기, 침류왕: 중국의 동진으로부터 불교수용. 5세기, 비유왕: 고구려의 장수왕 (평양 천도) - 나제동맹(눌지) 형성 5세기, 개로왕 (북위에 SOS) 전사 - 한성 함락 됨. 5세기, 동성왕: 신라의 소지왕과 결혼동맹 형성, 웅진 (공주)으로 천도. 6세기, 무령왕: 22담로 (왕족) 파견함. 중국남조, 일본과 교류 -> 무령왕릉 (벽돌무덤)을 통함. 6세기, 성왕: 백제 중흥, 사비 (부여) 천도, 국호를 남부여로 바꿈. 행정구역 5부5방으로..
2020.09.06 -
김수로 건국(구지가: 거북아 머리 내놔) 덩이쇠 -> 낙랑, 왜 수출(중계무역) 1. 금관가야 유적지 - 김해 대성동 고분 3세기, 전기가야 연맹을 주도함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세력에 의해 밀려남 -> 대가야로 세력이동 6세기, 신라 법흥왕에 의해 멸망 2. 대가야 유적지 - 고령 지산동 고분 5세기, 후기가야연맹을 이끌게 됨 6세기, 신라 진흥왕에 의해 멸망
[한국사 요약] 가야김수로 건국(구지가: 거북아 머리 내놔) 덩이쇠 -> 낙랑, 왜 수출(중계무역) 1. 금관가야 유적지 - 김해 대성동 고분 3세기, 전기가야 연맹을 주도함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세력에 의해 밀려남 -> 대가야로 세력이동 6세기, 신라 법흥왕에 의해 멸망 2. 대가야 유적지 - 고령 지산동 고분 5세기, 후기가야연맹을 이끌게 됨 6세기, 신라 진흥왕에 의해 멸망
2020.09.05 -
소수림왕: 율령 (10여 관등) 반포, 불교 (전진)수용, 태학 -> 5세기 광개토 대왕: 연호 (영락), 후연 공격 -> 요동 장악, 신라 (내물왕)를 왜로부터 구원 -> 금관가야 쇠퇴, 호우명 그릇 장수왕: 광개토대왕릉비, 균형외교 (남북조), 남하정책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 -> 백제의 한성함락, 개로왕 전사시킴, 웅진으로 천도 -> 충주고구려비 -> 나제동맹 을지문덕: 살수대첩 연개소문 (642): 당의 침략 -> 천리장성, 김춘추의 도움요청, 안시성 싸움 668년 나당연합에 의해 멸망 곧바로 부흥운동: 검모잠, 안승, 고연무
[한국사 요약] 고구려의 발전소수림왕: 율령 (10여 관등) 반포, 불교 (전진)수용, 태학 -> 5세기 광개토 대왕: 연호 (영락), 후연 공격 -> 요동 장악, 신라 (내물왕)를 왜로부터 구원 -> 금관가야 쇠퇴, 호우명 그릇 장수왕: 광개토대왕릉비, 균형외교 (남북조), 남하정책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 -> 백제의 한성함락, 개로왕 전사시킴, 웅진으로 천도 -> 충주고구려비 -> 나제동맹 을지문덕: 살수대첩 연개소문 (642): 당의 침략 -> 천리장성, 김춘추의 도움요청, 안시성 싸움 668년 나당연합에 의해 멸망 곧바로 부흥운동: 검모잠, 안승, 고연무
2020.09.03 -
1. 고대국가 고대국가의 기틀 - 더욱더 중앙집권화가 이뤄진 형태 (강력한 왕권) - 율령 반포, 불교 수용 고구려 (2세기), 백제 (3세기), 신라 (4세기) 가야는 고대국가 성립 x -> 연맹왕국에서 끝남 전성기 백제 (4세기), 고구려 (5세기), 신라 (6세기) - 한강 차지 2. 고구려의 성립 건국왕: 주몽 (동명왕) -> 부여출신 당시 수도는 졸본 태조왕 - 옥저정복 고국천왕 - 부자세습, 부족5부를 행정5부로 개편, 진대법 (을파소, 봄에 곡식을 빌려서 가을에 갚음) 동천왕 - 위 (관구검)의 침략 미천왕 - 낙랑군, 대방군 축출, 서안평 지역 점령 고국원왕 - 전연의 침략, 백제 (근초고왕)의 침략 -> 고국원왕 전사
[한국사 요약] 고대국가와 고구려1. 고대국가 고대국가의 기틀 - 더욱더 중앙집권화가 이뤄진 형태 (강력한 왕권) - 율령 반포, 불교 수용 고구려 (2세기), 백제 (3세기), 신라 (4세기) 가야는 고대국가 성립 x -> 연맹왕국에서 끝남 전성기 백제 (4세기), 고구려 (5세기), 신라 (6세기) - 한강 차지 2. 고구려의 성립 건국왕: 주몽 (동명왕) -> 부여출신 당시 수도는 졸본 태조왕 - 옥저정복 고국천왕 - 부자세습, 부족5부를 행정5부로 개편, 진대법 (을파소, 봄에 곡식을 빌려서 가을에 갚음) 동천왕 - 위 (관구검)의 침략 미천왕 - 낙랑군, 대방군 축출, 서안평 지역 점령 고국원왕 - 전연의 침략, 백제 (근초고왕)의 침략 -> 고국원왕 전사
20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