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복
카이로 회담 : 대한민국 독립 약속
얄타 회담 : 소련 참전
1945년, 분단 (38도 선)과 함께 광복
북 : 소련
남 : 미국
모스크바 3국 (미.소.영) 외상회의
- 임시정부 수립
- 신탁통치 (+중국)
- 미소 공동위원회
좌 : 지지 (박헌영)
우 : 반대 (이승만, 김구)
좌우 대립
1차 미소 공동위원회
- 미국 : 다 참가
- 소련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참가하는 단체만 참여
결국 협상결렬 -> 휴회
이승만 정읍발언 : 남한만이라도 정부를 수립해야한다.
-> 좌우합작운동 : 여운형(좌), 김규식(우) - 초기 미군정이 지지
- 7원칙 (미소공동위원회 빨리, 친일파 처단, 임시정부수립)
트루먼 독트린 (냉전)
2차 미소 공동위원회
1차랑 똑같이 참가자격 문제로 결렬
국내
조선건국동맹 by 여운형
- 건준 -> 치안, 좌우합작 -> 조선인민공화국 선포 -> 인민위원회 (지방)
- 미국은 미군정 외 모든 정부를 인정하지 않음 (심지어 대한민국 임시정부마저)
대한민국임시정부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UN 총회
- 인구 비례 총선거 -> 한국 임시 위원단 파견 -> 소련의 거부
UN 소총회
- 가능 지역 총선거
- 5.10 총선거 (국회의원 선거) -> 최초의 보통선거
- 김구 읍고
- 제주 4.3사건 (특별법, 총선거 반대)
- 남북협상 -> 김구, 김규식 + 김일성 -> 남북 제정당, 사회단체 대표
제헌헌법
- 대통령 : 간선제 (국회)
대한민국 정부 수립
- 반민특위 실패 -> 국회 프락치 사건, 공소시효 축소
- 농지개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3. 6.25 전쟁
북한의 남침
배경: 애치슨선언에 남한 빠짐, 소련 중국 지원
- 낙동강 방어선까지 밀림 (수도 -> 부산)
- 인천 상륙작전 (장사리 - 학도병)
- 중공군 개입
- 흥남철수, 1.4 후퇴
- 소련 휴전 제의
- 휴전 회담 (자유 송환vs 자동 송환)
- 반공 포로 석방
- 휴전 (53, DMZ)
- 한미상호방위조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