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History)
-
1. 경제 침탈 강화도 조약 - 관세 없음 -> 가내수공업 타격입음 - 최혜국 대우 없음 - 개항장 무역 -> 내지무역 불가 -> 전통상인 개이득 (보부상, 객주) - 무제한 곡물 유출 조미 수호 통상 조약 (82) - 의 영향 - 거중조정 - 관세 있음 - 최혜국 대우 있음 - 보빙사 (유길준) 조청 상민수륙 무역장정 (82) - 임오군란의 결과 -> 청과 일의 경쟁 - 내지무역 가능 조일 통상 장정 (83) - 방곡령 이권침탈절정 - 아관파천 이후 - 러 : 삼림채벌, 절영도 조차, 한러은행 - 미 : 운산금광, 경인선 -> 일본이 가짐 - 프 : 광산 채굴, 경의선 -> 일본이 가짐 대한시설강령 - 황무지 개간 요구 화폐정리사업 by 메가타 - 을사늑약 이후 - 백동화 -> 제일은행권 -> 은행, ..
[한국사 요약] 개항기 경제1. 경제 침탈 강화도 조약 - 관세 없음 -> 가내수공업 타격입음 - 최혜국 대우 없음 - 개항장 무역 -> 내지무역 불가 -> 전통상인 개이득 (보부상, 객주) - 무제한 곡물 유출 조미 수호 통상 조약 (82) - 의 영향 - 거중조정 - 관세 있음 - 최혜국 대우 있음 - 보빙사 (유길준) 조청 상민수륙 무역장정 (82) - 임오군란의 결과 -> 청과 일의 경쟁 - 내지무역 가능 조일 통상 장정 (83) - 방곡령 이권침탈절정 - 아관파천 이후 - 러 : 삼림채벌, 절영도 조차, 한러은행 - 미 : 운산금광, 경인선 -> 일본이 가짐 - 프 : 광산 채굴, 경의선 -> 일본이 가짐 대한시설강령 - 황무지 개간 요구 화폐정리사업 by 메가타 - 을사늑약 이후 - 백동화 -> 제일은행권 -> 은행, ..
2020.09.15 -
1. 국권 침탈 과정 강화도 조약 -> 임오군란 -> 갑신정변 (84) -> 동학농민운동 (94) -> 갑오.을미개혁 -> 아관파천 -> 대한제국 -> 러일전쟁 (04) : 러시아의 용암포 조차 (03) -> 한일의정서 : 군용지를 맘대로 사용 -> 1차 한일협약 - 고문통치 - 메가타 (재정) - 스티븐스 (외교) -> 2차 한일협약 = 을사늑약 (1905) - 외교권 강탈 - 통감 부임 -> 헤이그 특사 (이준, 이상설, 이위종) -> 고종 강제 퇴위 (광무) : 순종 즉위 (연호 융희) -> 한일신협약 = 정미 7조약 (07) - 군대해산 - 차관정치 -> 기유각서 - 사법권 박탈 -> 경술국치 (1910. 08. 29) 2. 항일 의거 활동 을사늑약 - 민영환 자결 -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
[한국사 요약] 국권 침탈1. 국권 침탈 과정 강화도 조약 -> 임오군란 -> 갑신정변 (84) -> 동학농민운동 (94) -> 갑오.을미개혁 -> 아관파천 -> 대한제국 -> 러일전쟁 (04) : 러시아의 용암포 조차 (03) -> 한일의정서 : 군용지를 맘대로 사용 -> 1차 한일협약 - 고문통치 - 메가타 (재정) - 스티븐스 (외교) -> 2차 한일협약 = 을사늑약 (1905) - 외교권 강탈 - 통감 부임 -> 헤이그 특사 (이준, 이상설, 이위종) -> 고종 강제 퇴위 (광무) : 순종 즉위 (연호 융희) -> 한일신협약 = 정미 7조약 (07) - 군대해산 - 차관정치 -> 기유각서 - 사법권 박탈 -> 경술국치 (1910. 08. 29) 2. 항일 의거 활동 을사늑약 - 민영환 자결 -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
2020.09.13 -
1. 국내외 정세 갑신정변 실패 외세 - 영국: 거문도불법정령 -> 중립파 - 유길준, 브들러(독) - 청: 내정간섭 증가 - 일: 쌀과 면 교환 내세 - 쌀값 폭등 - 조세 부담 증가 -> 전신 (85), 전등 (87) - 경복궁 -> 육영공원 (86) -> 광혜원 -> 제중원 -> 박문국 -> 한성순보 발간 2. 동학농민운동 (1894) 반외세 + 반봉건 아래로부터 개혁 교조신원운동 (최제우 사형) (반외세 톈진 조약 (갑신정변) -> 일 출병 - 전주화약 -> 폐정개혁 (집강소 중심) -> 교정청 (정부) - 폐정개혁: 신분제 폐지, 토지균분, 과부재가 주장 - ..
[한국사 요약] 동학 농민 운동 - 대한제국1. 국내외 정세 갑신정변 실패 외세 - 영국: 거문도불법정령 -> 중립파 - 유길준, 브들러(독) - 청: 내정간섭 증가 - 일: 쌀과 면 교환 내세 - 쌀값 폭등 - 조세 부담 증가 -> 전신 (85), 전등 (87) - 경복궁 -> 육영공원 (86) -> 광혜원 -> 제중원 -> 박문국 -> 한성순보 발간 2. 동학농민운동 (1894) 반외세 + 반봉건 아래로부터 개혁 교조신원운동 (최제우 사형) (반외세 톈진 조약 (갑신정변) -> 일 출병 - 전주화약 -> 폐정개혁 (집강소 중심) -> 교정청 (정부) - 폐정개혁: 신분제 폐지, 토지균분, 과부재가 주장 - ..
2020.09.13 -
1. 조일수호조규 흥선대원군, 상소로 인해 탄핵당함 고종 + 민씨 즉위 박규수, 유홍기, 오경석 = 중인 -> 통상개화파 운요호 사건 (75) - 서계, 정한론 (강화도) 강화도 조약 (76) - 조일수호조규 - 조선=자주국 -> 청 종주권 부정 - 부산 + 원산 (80), 인천 (83) - 불평등 (해안측량권, 영사재판권=치외법권) - 최초 근대적 조약 (최혜국 대우는 없음) 조일 무역 규칙 (강화도조약 부속 조약) - 관세 없음 - 항세 없음 - 곡물 유출 제한 없음 조일 수호조규 부록 (강화도조약 부속 조약) - 개항장 -> 일본화폐 사용가능 - 개항장 무역 -> 내지무역 금지 -> 보부상이나 객주한테 팔아야 됨 2. 개화 정책 추진 개화파 (주류) 온건파와 급진파로 나뉨. 온건파 - 청나라 - 양..
[한국사 요약] 개항~갑신정변1. 조일수호조규 흥선대원군, 상소로 인해 탄핵당함 고종 + 민씨 즉위 박규수, 유홍기, 오경석 = 중인 -> 통상개화파 운요호 사건 (75) - 서계, 정한론 (강화도) 강화도 조약 (76) - 조일수호조규 - 조선=자주국 -> 청 종주권 부정 - 부산 + 원산 (80), 인천 (83) - 불평등 (해안측량권, 영사재판권=치외법권) - 최초 근대적 조약 (최혜국 대우는 없음) 조일 무역 규칙 (강화도조약 부속 조약) - 관세 없음 - 항세 없음 - 곡물 유출 제한 없음 조일 수호조규 부록 (강화도조약 부속 조약) - 개항장 -> 일본화폐 사용가능 - 개항장 무역 -> 내지무역 금지 -> 보부상이나 객주한테 팔아야 됨 2. 개화 정책 추진 개화파 (주류) 온건파와 급진파로 나뉨. 온건파 - 청나라 - 양..
2020.09.13 -
1. 대내정책 19세기 대내상황 - 정치: 세도정치 -> 왕권강화 하자 - 경제: 상정문란 (삼정이정청을 만들었으나 실패 by 박규수) -> 민생안정 하자 비변사 삭제 -> 의정부 (행정), 삼군부 (군사) 경복궁 중건 국가 재정확보 군정: 호포제 (양반도 징수) -> 최익현: 탄핵 상소 올림 -> 고종친정 -> 최익현 : 개항반대, 을사의병 환곡(공무원 개입): 사창제 (마을에서 창고를 알아서 운영) 2. 대외정책 19세기 서세동점 - 이양선 출몰 - 서양:교역하자 - 조선: ㅈ까 1. 병인박해 (66) - 프랑스 천주교 선교사 처형 2. 제너럴셔먼호 사건 (66, 평양) - 미국 - 박규수 (삼정이정청), 제너럴셔먼호 불태움 3. 병인양요 (66) - 강화도 (vs 프랑스) - 양헌수 (정족산성), ..
[한국사 요약] 흥선대원군1. 대내정책 19세기 대내상황 - 정치: 세도정치 -> 왕권강화 하자 - 경제: 상정문란 (삼정이정청을 만들었으나 실패 by 박규수) -> 민생안정 하자 비변사 삭제 -> 의정부 (행정), 삼군부 (군사) 경복궁 중건 국가 재정확보 군정: 호포제 (양반도 징수) -> 최익현: 탄핵 상소 올림 -> 고종친정 -> 최익현 : 개항반대, 을사의병 환곡(공무원 개입): 사창제 (마을에서 창고를 알아서 운영) 2. 대외정책 19세기 서세동점 - 이양선 출몰 - 서양:교역하자 - 조선: ㅈ까 1. 병인박해 (66) - 프랑스 천주교 선교사 처형 2. 제너럴셔먼호 사건 (66, 평양) - 미국 - 박규수 (삼정이정청), 제너럴셔먼호 불태움 3. 병인양요 (66) - 강화도 (vs 프랑스) - 양헌수 (정족산성), ..
2020.09.13 -
1. 과학기술의 발달 서양문물 - 곤여만국전도 (세계지도) 천문학 - 시헌력 (김육, 서양역법), 지전설 (이익, 홍대용, 김석문) 의학 - : 허준, 광해군 - : 허임 - : 정약용, 종두법 -> 을미개혁 - : 이제마 -> 사상의학 농서 - : 신속, 모내기법 (이앙법) - : 박세당( 책쾌 (책 배달), 전기수 (책 읽어주는 사람) - 사설시조 : 형식 파괴 한문학 - 박지원 서양화 기법), 장승업 - 민화 : 까치, 호랑이 - 추사체 : 김정희 ('세한도') 건축 - 17세기 -> 양반, 지주 : 구례 화엄사 각황전, 김제 금산사 (견훤유폐) 미륵전, 보은 법주사 팔상전 (현존 유일 조선 목탑) - 18세기 -> 부농, 상인 : 논산 쌍계사 대웅전, 부안 개암사 대웅전 -> 정조 : 수원화성 (..
[한국사 요약] 조선 후기 문화21. 과학기술의 발달 서양문물 - 곤여만국전도 (세계지도) 천문학 - 시헌력 (김육, 서양역법), 지전설 (이익, 홍대용, 김석문) 의학 - : 허준, 광해군 - : 허임 - : 정약용, 종두법 -> 을미개혁 - : 이제마 -> 사상의학 농서 - : 신속, 모내기법 (이앙법) - : 박세당( 책쾌 (책 배달), 전기수 (책 읽어주는 사람) - 사설시조 : 형식 파괴 한문학 - 박지원 서양화 기법), 장승업 - 민화 : 까치, 호랑이 - 추사체 : 김정희 ('세한도') 건축 - 17세기 -> 양반, 지주 : 구례 화엄사 각황전, 김제 금산사 (견훤유폐) 미륵전, 보은 법주사 팔상전 (현존 유일 조선 목탑) - 18세기 -> 부농, 상인 : 논산 쌍계사 대웅전, 부안 개암사 대웅전 -> 정조 : 수원화성 (..
2020.09.13 -
1. 양명학 - 실천, 지행합일 - 정제두 -> 강화학파 2. 실학 민족, 자주적 -> 국학 중농학파 (경세치용 학파) - 주장 : 토지 분배 -> 자영농 육성 - 유형원 -> 균전론 (신분차이 인정) - 이익 -> 한전론 (영업전:매매불가) -> 6좀 (양반, 과거제, 노비, 승려, 미신, 게으름) - 정약용 -> 여전론 : 공동소유, 공동경작 -> 노동량에 따라 분배 -> 정전제 : 토지를 9분할하여 가장자리 8부분은 나누고 중앙에 1부분은 공동경작 + 세납 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북학파) - 주장 : 토지생산력 키우자, 상공업 키우자, 청문물 수용 - 유수원 -> 사농공상 ㅈ까 -> 직업적 평등 - 홍대용 -> 문벌제 ㅈ까 -> 혼천의, 지전설, 무한우주론 - 박지원 -> 수레, 선박, 화폐 쓰자..
[한국사 요약] 조선 후기 문화11. 양명학 - 실천, 지행합일 - 정제두 -> 강화학파 2. 실학 민족, 자주적 -> 국학 중농학파 (경세치용 학파) - 주장 : 토지 분배 -> 자영농 육성 - 유형원 -> 균전론 (신분차이 인정) - 이익 -> 한전론 (영업전:매매불가) -> 6좀 (양반, 과거제, 노비, 승려, 미신, 게으름) - 정약용 -> 여전론 : 공동소유, 공동경작 -> 노동량에 따라 분배 -> 정전제 : 토지를 9분할하여 가장자리 8부분은 나누고 중앙에 1부분은 공동경작 + 세납 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북학파) - 주장 : 토지생산력 키우자, 상공업 키우자, 청문물 수용 - 유수원 -> 사농공상 ㅈ까 -> 직업적 평등 - 홍대용 -> 문벌제 ㅈ까 -> 혼천의, 지전설, 무한우주론 - 박지원 -> 수레, 선박, 화폐 쓰자..
2020.09.13 -
1. 신분제 동요 양난 - 양안 소멸 (토지) - 호적 소멸 (사람) -> 국가 재정 추락 -> 납속책 (공명첩) -> 양방군역x 양반 - 권반 (계속 권력 가짐) - 향반 (투쟁에서 밀려나 향촌에 짱박힘) - 잔반 (몰락한 양반) 중인 - 서얼 (신분상승상소 -> 서얼등용 -> 규장각 검서관(정조) -> 박제가, 유득공) - 기술직 중인 : 소청x, 시사조직 -> 위항문학 상민 - 부농: 잔반의 족보를 매입 (위조), 납속책-> 양반진화 - 임노동자 천민 - 대부분 노비 -> ㅌㅌ - 양인화 (국가 재정 확보를 위해) -> 노비종모법 (어머니의 신분을 따름) -> 공노비해방 (순조) 구향 = 향반 -> 보학: 족보 암기ㅋㅋㅋㅋ -> 사당 세움 -> 동성촌 -> 가부장 신향 = 양반이 된 부농 -> 지방..
[한국사 요약] 조선 후기 사회1. 신분제 동요 양난 - 양안 소멸 (토지) - 호적 소멸 (사람) -> 국가 재정 추락 -> 납속책 (공명첩) -> 양방군역x 양반 - 권반 (계속 권력 가짐) - 향반 (투쟁에서 밀려나 향촌에 짱박힘) - 잔반 (몰락한 양반) 중인 - 서얼 (신분상승상소 -> 서얼등용 -> 규장각 검서관(정조) -> 박제가, 유득공) - 기술직 중인 : 소청x, 시사조직 -> 위항문학 상민 - 부농: 잔반의 족보를 매입 (위조), 납속책-> 양반진화 - 임노동자 천민 - 대부분 노비 -> ㅌㅌ - 양인화 (국가 재정 확보를 위해) -> 노비종모법 (어머니의 신분을 따름) -> 공노비해방 (순조) 구향 = 향반 -> 보학: 족보 암기ㅋㅋㅋㅋ -> 사당 세움 -> 동성촌 -> 가부장 신향 = 양반이 된 부농 -> 지방..
2020.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