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History)
-
1. 수취체제 조세 - 과전법 (1결당 max 30두) -> 공법 (전분, 연분, 1결당 4~20두) -> 영정법 (인조, 1결당 4~6두) 공납 - 특산품 -> 방납 폐단 -> 대동법 (광해군-이원익, 김육:대동법 전국확산): 1결당 12두 or 동전, 포 - 호 (집집마다) 당 -> 토지 당 -> 12두를 선혜청에 보내면, 선혜청에서 공인 (국가상인)이 물품조달 -> 상품화폐경제 역 군역 - (대립, 방군수포) -> 균역법 (영조): 방군수포 1년에 2필을 1년에 1필로 인하 - 인하한 1필을 보충하는 방법 -> 어장세, 염세, 선박세를 물림 -> 선무군관포 (명예세) -> 결작 (1결당 2두) 조선후기 수취제도의 특징 : 전세화, 금납화 2. 농업 밭 : 2년 3작 -> 후기에는 상품작물 (담배, ..
[한국사 요약] 조선 후기 경제1. 수취체제 조세 - 과전법 (1결당 max 30두) -> 공법 (전분, 연분, 1결당 4~20두) -> 영정법 (인조, 1결당 4~6두) 공납 - 특산품 -> 방납 폐단 -> 대동법 (광해군-이원익, 김육:대동법 전국확산): 1결당 12두 or 동전, 포 - 호 (집집마다) 당 -> 토지 당 -> 12두를 선혜청에 보내면, 선혜청에서 공인 (국가상인)이 물품조달 -> 상품화폐경제 역 군역 - (대립, 방군수포) -> 균역법 (영조): 방군수포 1년에 2필을 1년에 1필로 인하 - 인하한 1필을 보충하는 방법 -> 어장세, 염세, 선박세를 물림 -> 선무군관포 (명예세) -> 결작 (1결당 2두) 조선후기 수취제도의 특징 : 전세화, 금납화 2. 농업 밭 : 2년 3작 -> 후기에는 상품작물 (담배, ..
2020.09.12 -
1. 비변사 - 3포왜란(중종) -> 임시 -> 을묘왜변(명종) -> 상설 -> 임진왜란 -> 권력 상승 -> 세도 정치에서 절정 - 의정부 6조 역할 축소 - 흥선대원군, 비변사 폐지 2. 군사체제 중앙 5위 -> 임진왜란 -> 5군영: 훈련도감, 수어청, 총융청, 어영청, 금위영 - 훈련도감: 삼수병 - 포수+사수+살수 (유지를 위해 삼수미를 거둠): 모병 (급료 상비군) - 수어청, 총융청, 어영청 (인조, 호란) - 금위영 (숙종) 지방군 영진군 -> 임진왜란 -> 속오군 (양반~노비), 예비군 수비체제: 진관체제 -> 제승방략 (임진왜란 때 박살남) -> 진관체제 3. 여진 외교 광해군 - 중립외교 (강홍립 투항) 인조(인조반정) - 친명배금 - 정묘호란 (정봉수-용골 산성, 이립) - 병자호란..
[한국사 요약] 조선 후기 외교, 조직1. 비변사 - 3포왜란(중종) -> 임시 -> 을묘왜변(명종) -> 상설 -> 임진왜란 -> 권력 상승 -> 세도 정치에서 절정 - 의정부 6조 역할 축소 - 흥선대원군, 비변사 폐지 2. 군사체제 중앙 5위 -> 임진왜란 -> 5군영: 훈련도감, 수어청, 총융청, 어영청, 금위영 - 훈련도감: 삼수병 - 포수+사수+살수 (유지를 위해 삼수미를 거둠): 모병 (급료 상비군) - 수어청, 총융청, 어영청 (인조, 호란) - 금위영 (숙종) 지방군 영진군 -> 임진왜란 -> 속오군 (양반~노비), 예비군 수비체제: 진관체제 -> 제승방략 (임진왜란 때 박살남) -> 진관체제 3. 여진 외교 광해군 - 중립외교 (강홍립 투항) 인조(인조반정) - 친명배금 - 정묘호란 (정봉수-용골 산성, 이립) - 병자호란..
2020.09.12 -
1. 붕당 선조시기 척신잔재의 청산, 이조 전랑 동인 (강경파) vs 서인 (온건파) 정여립 (서인->동인) vs 정철 (서인) -> 기축옥사: 정여립 관련된 사람들 다 주겨 서인: 선조님, 세자책봉하쉴? 선조: 이런 ㅅㅂ, 나 그만두라는 거냐? 서인 너 뒤졌어 동인: 북인 (서인 다 주겨) vs 남인 (그건좀..) -> 북인이 광해군과 커넥션 가지면서 승리 광해군 - 중립외교 - 대동법 - 영창대군 증살 - 인목대비 폐위 (영창대군 엄마) - 폐모살제 명분으로 서인+남인에게 폐위당함 (인조반정) 인조반정 - 북인 붕괴 - 여당 서인과 야당 남인의 흐름 2. 예송논쟁 현종 (효종 아들) 자의대비 (효종계모, 인조의 부인) 상복착용기간 효종 사망 (장남 사망시 엄마는 상복3년, 장남 아닐시 1년) 근데 효..
[한국사 요약] 조선 문화31. 붕당 선조시기 척신잔재의 청산, 이조 전랑 동인 (강경파) vs 서인 (온건파) 정여립 (서인->동인) vs 정철 (서인) -> 기축옥사: 정여립 관련된 사람들 다 주겨 서인: 선조님, 세자책봉하쉴? 선조: 이런 ㅅㅂ, 나 그만두라는 거냐? 서인 너 뒤졌어 동인: 북인 (서인 다 주겨) vs 남인 (그건좀..) -> 북인이 광해군과 커넥션 가지면서 승리 광해군 - 중립외교 - 대동법 - 영창대군 증살 - 인목대비 폐위 (영창대군 엄마) - 폐모살제 명분으로 서인+남인에게 폐위당함 (인조반정) 인조반정 - 북인 붕괴 - 여당 서인과 야당 남인의 흐름 2. 예송논쟁 현종 (효종 아들) 자의대비 (효종계모, 인조의 부인) 상복착용기간 효종 사망 (장남 사망시 엄마는 상복3년, 장남 아닐시 1년) 근데 효..
2020.09.12 -
문자 천문. 역법 의학.농서 건축.탑 공예 회화 문학 15세기 태종: 주자소, 계미자 세종: 갑인자 -> 용비어천가 (최초한글) 천상열차분야지도 (태조) 장영실 (세종) - 측우기 (강우량 측정) - 자격루 (물시계) - 양부일구 (해시계) 칠정산 (세종) - 이순지 - 한양 중심의 역법서 - 수시력 (원) + 회회력 (아라비아) 세종 - : 의학백과사전 - - 조선의 재료로 처방 - -> 15세기의 민족적이고 자주적인 특성 - 성종 - 농서 - by 강희맹 궁궐 - 경복궁 (전기) -> 임진왜란 때 파괴됨 -> 흥선대원군이 재건 -> vs 창덕궁 (후기) 성곽 - 우사 (사직단) + 좌묘 (종묘) 해인사장경판전 - 팔만대장경 원각사지 10층 석탑 - 경천사지 10층 석탑을 모델로 함. - 후기: 백탑파..
[한국사 요약] 조선 문화2문자 천문. 역법 의학.농서 건축.탑 공예 회화 문학 15세기 태종: 주자소, 계미자 세종: 갑인자 -> 용비어천가 (최초한글) 천상열차분야지도 (태조) 장영실 (세종) - 측우기 (강우량 측정) - 자격루 (물시계) - 양부일구 (해시계) 칠정산 (세종) - 이순지 - 한양 중심의 역법서 - 수시력 (원) + 회회력 (아라비아) 세종 - : 의학백과사전 - - 조선의 재료로 처방 - -> 15세기의 민족적이고 자주적인 특성 - 성종 - 농서 - by 강희맹 궁궐 - 경복궁 (전기) -> 임진왜란 때 파괴됨 -> 흥선대원군이 재건 -> vs 창덕궁 (후기) 성곽 - 우사 (사직단) + 좌묘 (종묘) 해인사장경판전 - 팔만대장경 원각사지 10층 석탑 - 경천사지 10층 석탑을 모델로 함. - 후기: 백탑파..
2020.09.12 -
유학 (성리학) 불교 역사 (정통성) 지리 (중앙집권) 법.윤리 음악 15세기 혁명파 -> 훈구 중앙 - 성균관 (고등) : 대사성 (총장) -> 명륜당 (교육) + 대성전 (제사) - 4부학당 (중등) 지방 - 향교 (중등) -> 교수, 훈도 파견 -> 국가주도의 관학 승유억불 - 도첩제 (승려면허증) - 교단정리 (세종) : 수양대군 = 세조: 간경도감 : by 정도전 : 기전체 방식 : 편년체 - 편년체 - 춘추관에서 집필 - 세계기록유산 : ( 성종), 고조선 ~ 고려 통사 (성종): by 서거전, 역대 시문집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태종 - 현존 동양 최고 세계지도 - 중화사상 (성종) - 지리서 (세조 ~ 성종) - 세종 - 충신, 효자, 열녀 (성종) : 행사 정리 (성종) : 음악 이론 1..
[한국사 요약] 조선 문화유학 (성리학) 불교 역사 (정통성) 지리 (중앙집권) 법.윤리 음악 15세기 혁명파 -> 훈구 중앙 - 성균관 (고등) : 대사성 (총장) -> 명륜당 (교육) + 대성전 (제사) - 4부학당 (중등) 지방 - 향교 (중등) -> 교수, 훈도 파견 -> 국가주도의 관학 승유억불 - 도첩제 (승려면허증) - 교단정리 (세종) : 수양대군 = 세조: 간경도감 : by 정도전 : 기전체 방식 : 편년체 - 편년체 - 춘추관에서 집필 - 세계기록유산 : ( 성종), 고조선 ~ 고려 통사 (성종): by 서거전, 역대 시문집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태종 - 현존 동양 최고 세계지도 - 중화사상 (성종) - 지리서 (세조 ~ 성종) - 세종 - 충신, 효자, 열녀 (성종) : 행사 정리 (성종) : 음악 이론 1..
2020.09.12 -
1. 경제 중농억상 정책 토지제도 (수조권) - 과전법 (공양왕, 전.현직-경기도지역에 한함, 세습안됨) -> 토지부족 (수신전=나죽으면 부인, 휼양전=나죽으면 자식한테 으로 세습가능하게 함) -> 직전법 (세조, 현직 only, 수신전, 휼양전 폐지) : 관수관급제 (국가가 거두어 나누어 줌) -> 16세기에 직전법 폐지 (명종) - 녹봉의 전면적 실시, 수조권 삭제 조세제도 - 과전법 ($1 \over 10$, max 30두) -> 공법 (세종) : 전분 6등법 (토지의 비옥도), 연분9등법 (풍흉년, 4~20) -> 16세기에 최저세율 (관행) 지대 (땅주인에게 내는 돈) 16세기 타조법 = 병작반수: 수확량의 "반" 공납 : 특산물 (집집마다) -> 16세기에 방납폐단 역 : 노동력 (군역, 요역..
[한국사 요약] 조선 경제, 사회1. 경제 중농억상 정책 토지제도 (수조권) - 과전법 (공양왕, 전.현직-경기도지역에 한함, 세습안됨) -> 토지부족 (수신전=나죽으면 부인, 휼양전=나죽으면 자식한테 으로 세습가능하게 함) -> 직전법 (세조, 현직 only, 수신전, 휼양전 폐지) : 관수관급제 (국가가 거두어 나누어 줌) -> 16세기에 직전법 폐지 (명종) - 녹봉의 전면적 실시, 수조권 삭제 조세제도 - 과전법 ($1 \over 10$, max 30두) -> 공법 (세종) : 전분 6등법 (토지의 비옥도), 연분9등법 (풍흉년, 4~20) -> 16세기에 최저세율 (관행) 지대 (땅주인에게 내는 돈) 16세기 타조법 = 병작반수: 수확량의 "반" 공납 : 특산물 (집집마다) -> 16세기에 방납폐단 역 : 노동력 (군역, 요역..
2020.09.12 -
1. 15세기 사대 : 명 교린 : 여진, 일본, 유구 (오키나와) 명 - 최영 - 정도전 -> 요동정벌 - 태종 : 사대외교 (국가적 실리 추구: 조공에 2배정도의 답례를 해줌) 여진 - 강경책: 4군(최윤덕) 6진 (김종서) -> 사민정책 (백성들 이주시킴), 토관제 (상피제에서 제외시켜줌) - 온건책: 북평관, 무역소 설치 일본 - 강경책: 쓰시마 정벌 (이종무) - 온건책: 3포 개항 (부산포, 제포=창원, 염포=울산) -> 계해약조 대 여진&일본 외교 : 세종 때 2. 16세기 3포왜란 (중종) -> 비변사 (임시) -> 을묘왜변 (명종) -> 비변사 (상설기구화) 임진왜란 발발 (1592) - 동래성전투 (송상현) -> 탄금대전투 (신립) -> 모두 패배 -> 선조 의주로 ㅌㅌ - 한산도 대첩..
[한국사 요약] 조선 외교1. 15세기 사대 : 명 교린 : 여진, 일본, 유구 (오키나와) 명 - 최영 - 정도전 -> 요동정벌 - 태종 : 사대외교 (국가적 실리 추구: 조공에 2배정도의 답례를 해줌) 여진 - 강경책: 4군(최윤덕) 6진 (김종서) -> 사민정책 (백성들 이주시킴), 토관제 (상피제에서 제외시켜줌) - 온건책: 북평관, 무역소 설치 일본 - 강경책: 쓰시마 정벌 (이종무) - 온건책: 3포 개항 (부산포, 제포=창원, 염포=울산) -> 계해약조 대 여진&일본 외교 : 세종 때 2. 16세기 3포왜란 (중종) -> 비변사 (임시) -> 을묘왜변 (명종) -> 비변사 (상설기구화) 임진왜란 발발 (1592) - 동래성전투 (송상현) -> 탄금대전투 (신립) -> 모두 패배 -> 선조 의주로 ㅌㅌ - 한산도 대첩..
2020.09.12 -
1. 중앙 조직 중앙:의정부 6조 왕권이 강화시키는 조직 - 6조직계제 (태종, 세조) - 승정원 (비서 기능, 도승지) - 의금부 (직속 사법 기관 - 역모, 금부도사) 왕권을 견제하는 조직 - 의정부 (세종) - 3사 (언론기능) -> 사간원 (대사간, 간쟁 - 아니되옵니다. 즈언하) - 태종 때, 분리 -> 사헌부 (대사헌, 감찰) - 사간원과 사헌부를 "양사"라 함. -> 5품이하 관리의 서경권을 가지고 있음. -> 홍문관 (대제학, 경연, 서연) 그 외 - 한성부 (한양 업무 - 서울 시청과 유사) - 춘추관 (역사 - 실록) - 장례원 (노비) - 성균관 (교육) 2. 지방 조직 8도 (일원화) -> 관찰사 (=감사 -> 감형에서 업무, 전국 8개) -> 고려에서는 안찰사라고 부름 부 -> 목..
[한국사 요약] 조선의 조직1. 중앙 조직 중앙:의정부 6조 왕권이 강화시키는 조직 - 6조직계제 (태종, 세조) - 승정원 (비서 기능, 도승지) - 의금부 (직속 사법 기관 - 역모, 금부도사) 왕권을 견제하는 조직 - 의정부 (세종) - 3사 (언론기능) -> 사간원 (대사간, 간쟁 - 아니되옵니다. 즈언하) - 태종 때, 분리 -> 사헌부 (대사헌, 감찰) - 사간원과 사헌부를 "양사"라 함. -> 5품이하 관리의 서경권을 가지고 있음. -> 홍문관 (대제학, 경연, 서연) 그 외 - 한성부 (한양 업무 - 서울 시청과 유사) - 춘추관 (역사 - 실록) - 장례원 (노비) - 성균관 (교육) 2. 지방 조직 8도 (일원화) -> 관찰사 (=감사 -> 감형에서 업무, 전국 8개) -> 고려에서는 안찰사라고 부름 부 -> 목..
2020.09.11